비트코인 종이지갑(페이퍼월렛) 사용방법 3단계

비트코인 사진


비트코인 종이지갑은 암호화폐를 오프라인에서 안전하게 보관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글에서는 종이지갑 생성부터 송금, 잔액조회까지의 과정을 설명하겠습니다.


1단계 종이 지갑 만들기

비트코인을 직접소유하기위해서는 자신의 지갑주소가 있어야 합니다.

종이 지갑을 아직 만들지 않으신 분들은

구글에서 "비트코인 종이지갑 만들기"라고 검색해보시면 

여러 사이트를 쉽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


아무리 해킹에서 안전하다는 종이지갑이라고 해도 

온라인에서 만들기 때문에 이 순간엔 해킹당할 위험이 분명 존재합니다.

그러므로 안전을 위해 여기에 링크를 적어두진 않겠습니다.


이건 무조건 직접 찾아 보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정 모르시겠다면 ChatGPT에게 비트코인 종이지갑 만드는법을 물어보면

자세하게 알려줍니다.



종이 지갑을 만드셨다면, 기다란 문자들의 나열로 되어있는 

공개 주소(SHARE, Bitcoin Address)와 개인 키(SECRET, Private Key)가 있을텐데,

이걸 은행 계좌에 비유하자면

공개 주소는 계좌번호 같은 거고 개인키는 계좌의 비밀번호 같은 것으로 


공개 주소는 괜찮지만,

개인 키는 본인 외에는 아무도 모르게 잘 보관하셔야 합니다.


사실 비트코인은 그 계좌(공개 주소)가 누구의 것 인지는 모르지만, 

어떤 계좌에 비트코인이 얼마가 들어있는지 거래내역까지 

누구나 실시간으로 다 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비트코인은 투명한 자산이라고 불리기도 하죠



종이 지갑에 비트코인 보관할 때 주의할 점


종이 지갑은 말 그대로 주소와 개인키를 적어둔 종이일 뿐이라서 

보관하는 동안 해킹의 위험이 없긴 하지만,

(온라인에서 지갑을 만드는 동안 해킹당할 위험이 존재하기는 합니다.)


보관을 잘 못해서 잃어버리거나 화재로 불타버리거나 하면 그대로 사라집니다.

해킹당할 위험은 없지만, 자기 자신이라는 최대의 리스크가 있다는 것입니다.


종이 지갑의 주소와 개인 키는 절대로 잃어버리면 안 되기 때문에

비트코인을 송금하기 전에 어떻게 보관할지를 먼저 

충분히 고민해 보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2단계 비트코인을 종이 지갑으로 송금하는 방법

국내 거래소에서 비트코인을 다른 코인으로 환전하지 않고 

바로 해외 거래소인 바이낸스로 송금할 수도 있긴 하지만,

그렇게 되면 글 작성일 기준 수수료만 [0.0008 BTC] 즉, 12만 원이 듭니다..


그러므로 수수료 부담을 조금이라도 줄이려면,

송금수수료가 저렴한 다른 암호화폐로 환전한 다음 

송금하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송금수수료는 전송 네트워크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사전에 잘 확인하신 후 진행하시길 권장드립니다.


예를들어, USDC나 Tron으로 환전해서 바이낸스로 송금한다면, 

수수료가 훨씬 적게 들게됩니다.


이렇게 국내 거래소에서 바이낸스로 무사히 코인을 옮겼다면,

Trade를 누르면 3번째 칸에 있는 [convert]를 사용해서 

옮긴 코인을 비트코인으로 변환해 줍니다.

이렇게 하면 시장가로 즉시 변환되며 별도의 수수료가 따로 없습니다.


비트코인으로 변환을 했다면, 포트폴리오에 비트코인이 들어와있는 게 보일 텐데요

이걸 이제 종이 지갑으로 송금할 때는 꼭!

⚠⚠"Bitcoin" 또는 "BTC" 네트워크를 선택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고 BEP-20이라던가 ERC-20같은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비트코인을 송금하게 되면... 바이낸스에서 송금은 되지만, 

종이 지갑에서 해당 네트워크를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송금한 돈을 영구적으로 잃게 됩니다.😱


바이낸스에서의 출금 수수료는 0.00005BTC

글 작성일 기준 7500원 정도가 소모됩니다.

좀 비싸긴 하지만, 국내거래소의 직접송금대비 월등히 저렴합니다.


3단계 종이 지갑에 있는 비트코인 잔액조회하는 방법

바이낸스에서 송금한 비트코인이 종이 지갑에 도착하려면 시간이 좀 걸립니다.

일반적으로 몇 분 내에 송금이 완료되며, 저는 약 10분정도 걸렸습니다.

바이낸스에서 언제쯤 송금이 완료되는지 

예상시간을 알려주고, 송금이 완료되면 알림도 보내줍니다.


시간이 흘러 송금이 완료되었다고 알림이 오면 이제 정상적으로 잘 들어왔는지

잔액조회를 해봐야 하지 않겠습니까?


잔액조회는 공개 주소 하나만 있으면 됩니다.

예를 들어 "유틸치타"라는 사이트의 비트코인 잔액 확인에 들어가

비트코인 지갑 주소에 넣고 확인하기만 눌러주면

잔액을 볼 수 있습니다.


잔액을 조회할수있는 사이트는 정말 많지만,

구글검색하다가 찾아낸"유틸치타"라는 사이트의 비트코인 잔액조회를 사용해봤는데

개인적으로 빠르고 편리했습니다.



⚠️ 면책조항: 본 글은 교육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투자 조언이 아닙니다. 

암호화폐 투자는 높은 위험을 수반하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받으시기 바랍니다.